공연사업에 남다른 수완 불멸의 히트곡 1972년 구성지고 경쾌한 노래들로 젊은 영혼들을 사로 잡았던 6인조 록 그룹 영 사운드가 등장했다. 대표곡인 ‘등불’과 ‘달무리’는 30여 년의 세월에도 생명력을 잃지 않는 한국 록의 불멸의 히트 넘버로 자리잡고 있다. 외국곡 연주가 주류를 이뤘던 당시, 영 사운드는 록 발라드 계열의 창작곡을 위주로 활동을 했던 중요 그룹이다. 리더는 70년대 중반에서 80년대 중반까지 조용필, 윤수일, 최헌, 주현미, 문희옥, 박남정 등 한국대중가요사에 걸출했던 스타들을 키워낸 음반제작자 겸 작곡가인 안치행이었다. 그는 일제강점기 때 전남 진도 옆의 작은 섬인 가사도에서 소장을 했던 부친 안보만 씨와 모친 장말진 씨의 3남 1녀 중 3남으로 1942년 1월 30일 태어났다. 6살 때 목포로 나와 가사도의 기억은 없다. 이후 초등학교 3학년 때 익산으로 이사를 해 이리국민학교를 다녔다. 그 해에 한국전쟁이 터지면서 공부에 취미를 잃었던 그는 30살이 넘는 학생들이 즐비했던 이리 남성야간중학에 1회로 들어 갔다. 정학 중이던 이리농고 2학년 때 황해악극단이 단원실습생을 모집을 하자 집에서 운영했던 제과점에서 돈을 훔쳐 악극단을 따라 가출을 했다. 여수, 부산을 돌아다니다 돈만 뺏기고 집으로 돌아 왔다. 어느 날 동네 아이들이 딱지놀이를 하며 기타통에 딱지를 넣는 것을 보고 기타를 빵과 바꿨다. 지나가는 사람이 연주해 준 ‘타향살이’에 마음을 빼앗기며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했다. 그 때부터 기타책을 구해 독학으로 기타를 치기 시작했다. 또 이리 원광대 관현악단에서 클라리넷을 불던 친구에게 악보 보는 법을 배웠다. 이후 7개월 간 기타를 배 위에 올려놓고 잘 정도로 연습을 하자 “기타를 잘 친다”고 소문이 났다. 그래서 방 하나를 얻어 악기점에서 기타를 빌려다 기타학원을 차렸다. 책가방을 들고다닌 적이 없던 문제아였던 그는 5년 만에 학교를 졸업했다. 돼지를 몰고 제과점 앞을 지나가는 담임선생님과 “대학을 안 갈거니 오전수업만 하기”로 합의했던...
댓글
댓글 쓰기